Que Sera, Sera. 민지의 일상로그
What I have learned so far in my journey of life 오늘도 건강하고,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전체 글 (14)
성인ADHD 약 복용 후기 (콘서타 27mg 복용 후 첫날, 부작용)

오늘은 내가 콘서타 27mg을 처방받고, 복용 후 첫날 느꼈던 솔직 후기를 적어보려 한다.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검사를 받고, 성인 ADHD 약을 처방받았다. 선생님은 부작용이 있을 수도 있지만, 약의 효과가 빨리 나타날 수 있는 콘서타를 선호한다고 하셨고, 보통  콘서타는 몸무게의 절반 정도를 처방하는데, 나는 그보다 높은 27mg을 주신다고 하셨다.

2주일 분을 처방해주셨다. (내가 일 때문에 자주 못 오니 2주일 분을 주셨으면 좋겠다고 요청드렸다.)

그리고 약의 효과가 약해지는 느낌을 받으면 증량하자고 하셨다.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검사받고, 진단받은 시각이 약 밤 9시쯤이라 다음 날부터 약을 복용했다.

아침부터 복용해야 한다는 말을 듣고, 일어나자마자 먹었고 아침 7시 20분쯤 빈속에 먹었다.(콘서타는 공복에 복용해도 된다는 점이 정말 큰 장점인 것 같다!)

 

 

 

먹자마자 씻으러 갔는데, 씻은 후 먹을걸이라며 후회했다. (내 정말,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약을 복용 한 다음, 사우나나 샤워 등을 하면 몸의 혈액순환이 평소보다 잘 되어 약의 효과가 금방 나타나거나 부작용이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하지만, 사실은 상관없다ㅋㅋㅋㅋㅋ약을 만든 사람들이 사람들이 약을 먹고 샤워를 하는 것을 생각 안 하고 만들었을 리 없다.)

 

 

 

하이튼, 그렇게 씻으러 간 후 머리를 감는데, 정말.. 놀랐다 계속 웃음밖에 안 나왔다. 웃겼다. 정말 웃겼다. 어이가 없었다. 머리를 감는데, 손에 샴푸가 묻고, 샴푸가 내 두피를 감싸는 느낌이 너무 생생했다. 촉감이 이렇게 민감하게 느껴졌던 건 처음이었다. 우와. 어이없어. 다들 이렇게 살았던 거야?라는 말이 절로 나왔다. 나는 가짜 세상에서 살고 있었던 거야?라는 마음의 소리가 밖으로 나올 뻔했다.

 

 

 

그리고 샤워를 할 때 항상 노래를 들으며 씻었는데, 나는 항상 노래를 하러 화장실을 간 건지, 샤워를 하러 화장실을 간 건지 모를 정도로 노래에 흠뻑 젖어 머리를 너무 오래 감은 적도 있었다.(물론 출근 준비 시간에는 자제하기는 하지만) 그런데 그 날은 노래는 하나도 귀에 들리지 않고 촉감에 너무 신기해했다. 하지만 샤워도 어떤 순서로 해야 할지 체계가 잡혔고, 그에 따라 하니, 평소보다 화장실에 늦게 들어갔는데 평소랑 똑같은 시간에 끝났다. 출근 준비를 머릿속에 어떻게 해야 하는지 착착 정리되는 기분이었다.

 

 

 

일 하러 가서는 기분이 엄청 up 되었다.

모든 것이 행복하고, 잡생각이 안 들고 내가 하는 일에 집중되는 느낌.

원래는 조용하고 최대한 가만히 있는 편인데, 이렇게 활기차 본건 처음이었다. 아마 같이 일하는 사람들은 왜 갑자기 내 성격이 밝아지고 활기차 졌지?라고 생각했을 수도 있을 것 같다. 

 

 

 

제일 좋았던 건, 평상시에는 남의 눈치를 많이 보고, 주변을 두리번거리며 다른 사람을 관찰하는 것이 습관이었는데(그래서인지 눈치 빠르다는 말은 많이 들었었다.) 약을 먹은 후, 나에게 집중이 되고, 내가 하는 일에 집중이 되고, 책의 글씨에 집중이 되었다. 시야가 좁아졌다고 해야 하나. 사람들의 시야는 180도이지만, 나는 평소에 240도 정도를 보며 상황을 파악하고는 했던 것 같은데, 시야가 좁아지는 느낌이 들며 대략 90도 정도만 관심을 기울이게 되고, 내가 읽고 있던 책의 글자들이 내 눈으로 튀어 오를 만큼 집중이 잘되는 경험을 해서 신기했었다.

 

 

무언가를 할 때 일이 착착 순서대로 어떻게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고, 정리되어 너무 좋았다. 밝아진 내 모습도 좋았다.

 

 

 

부작용이라면, 목이 계속 말랐다. 계속 말을 하다 보면 목소리가 갈라질 정도로 목이 말랐다. 점심에 누워서 잘 때는 목에 수분이 없어 침을 삼킬 때마다 소리가 났다. 그리고, 심박동이 평소보다는 조금 빨리 뛰는 게 느껴지긴 했다. 그렇지만, 그것들이 그렇게 많이 신경 쓰일 정도는 아니었다. 그리고 그것 말고는 불면증도 없고, 딱히 생각나는 부작용은 없었던 것 같다. 아마 불면증이 없는 이유는 내가 약을 이른 시간에 먹었기 때문인 것 같다.

 

 

 

 

  Comments,     Trackbacks
성인 ADHD 약 중단 시 일어나는 일(콘서타27mg복용 후기)

오늘은 ADHD 약 중단 후 느꼈던 느낌을 후기로 적어보려 한다. 일단, 나는 콘서타 27mg을 복용중이다.

 

약을 의도적으로 중단하려고 한 것은 아니였고,

아침에 까먹고 약을 안먹고 일을 하러 간 적이 2번 있다.

그에 대한 기억을 적어보려 한다.

 

* ADHD를 가진 사람은 무언가를 기억하고, 루틴으로 만드는 것이 굉장히 힘들기 때문에 일어나자 마자 약을 먹거나, 까먹지 않고 먹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 처음으로 약을 까먹고 일을 하러 갔을 때, 직장을 와서야 내가 약을 안먹었다는 것이 생각 났었다.

하지만, 집에 가서 약을 가져올 수 없었었기에 커피 2잔과 박카스를 먹었는데 생각보다는 평소랑 큰 차이가 없어서 놀랐다. 일이 익숙해지니 크게 까먹는 일도 줄어들었다. 하지만, 앉아 있는 것이 싫고, 계속 안절부절했다. 콘서타를 먹은날은, 잠시 사이 쉬는시간마다 책을 읽거나 서칭을 하는 등 나에게 필요한 것들을 차분히 했는데, 그 날은 앉아있어도 쉬는 느낌이 아니라 계속 두리번 두리번 거리고, 내 할 일에 집중하지 못하였다. 책을 읽어도 글자가 눈에 안들어 오고 잡생각만 계속 머리속에 떠다니는 느낌이었다.

그래도 내가 하는 일에는 큰 지장이 없었다.

 

 

2. 이번에도 일을 하러 가서야 약을 안먹은게 떠올라 중간에 먹을 수가 없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하는 일에 엄청난 지장이 있다고 느꼈다. 모든 일이 뒤죽박죽.

잡생각이 일하는 중에도 너무 많고 어떤 일을 하다가 마치지않고 다른 일을 하고, 이거했다 저거했다 하니 완벽하게 완수된 것이 없었다. 또 내가 해야하는 일을 하지않고 부가적인 일에만 너무 집중하고 있다는 생각을 했고, 일처리가 멍-청 했다. 효율적이게 일하고있지 않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내 기분의 tension이 너무 낮아졌다는 생각을 하게되었다. 하루종일 기분 좋지 않고 다운된느낌..? 중간에 박카스도 먹었지만, 똑같았다. 계속 일처리는 효율적이지 못하고 우왕좌왕했다. 나답지 않은 기분이였다. 그리고 약 뿐만아니라 정신적인 것도 매우 중요하구나를 느꼈다. 일 할때 일하기 불편한 사람과 같이 하다보면 스트레스받고 더 힘들었다.

 

 

결과론적으로, 약을 안먹은 후 

기분이 다운된 느낌이 들었고, 일을 우왕좌왕하며 효율적으로 하지 못했고, 집중을 못하고 좌불안석이었다.

 

 

내 의지로 안먹은 것은 아니지만, 약을 통해 내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다.

우선순위를 정하고, 또 내 물건들을 정리를 방법을 알게되어 감사했다. 

 

 

그리고, 그 모든 나를 완성시키는 루틴들이 완벽해지기 전까지는,

파우치에 약을 챙기고 다녀서 집에서 까먹고 약을 안 먹고 직장을 가더라도 먹을 수 있는 환경을 설정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되었다.

 

 

  Comments,     Trackbacks
내가 처음 성인 ADHD라는 것을 알았을 때의 생각들 (ADHD 수용 과정)

오늘은 내가 처음 ADHD가 아닐까?

진지하게 고민했던 당시의 상황과 느꼈던 생각들, 감정들을 적어보려 한다.

나도 내가, ADHD를 가지고 있으리라고는 생각치도 못했다.

집중을 못한다고는 생각해봤어도, ADHD라니..

하지만 나에게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인식한 후,

나에게 변화가 찾아왔다.

문제점을 회피하기보다는 직면하게 되었고, 받아들이게 되었다.

실 수용하는 과정이, 심리학에서 주로 나오는 분노의 5단계같았다. 

분노- 부정- 타협- 우울- 수용 과정을 거쳤던 것 같다.

 

항상 지저분하고, 정리 안되고, 계획없는 삶을 살기는 했지만, 이것이 나의 성격의 문제인줄 알았고 그것을 ADHD라고는 생각해 본적이 없었다.

사실 마음속에서는 그 사실을 거부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나는 평생을 그렇게 살아왔으니 당연히 다른 사람들도 이렇게 정리를 안 하고 사는 줄 알았다..

하지만 대학교에 들어와 기숙사 생활을 하고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사는지, 어떻게 계획하는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사는지를 알게 되었고 그게 나의 삶의 Turning Point가 되었다.

 

 

 

다른 사람들은 생각보다 정돈되어있었고, 삶을 계획하며 살았다.

나는 항상 계획만 세웠지, 집에서 빈둥대며 놀았다. 항상 내 기분이 먼저였고 무언가의 틀에 박혀 사는 삶을 기피했다.

나와는 전혀 다른 사람들을 보니, 현실이 직시되었고 내 삶에 대한 고민이 시작되었다.

나는 왜 이렇게 어지럽게 늘어놓고, 정리도 안하고 살까?

나는 왜 이렇게 계획을 지키지 않을까?

나는 왜 이렇게 시간을 못 맞추고 지각을 할까?

나는 왜 이렇게 잡생각이 많고 집중을 못할까?

나는 왜 이렇게 덜렁댈까?

 

 

 

계속 나에대한 생각을 깊게 하다 보니, 결론은 나왔다.

그렇다. 나는 ADHD이다. 그때가 2020년이었다. 대학교 졸업 후, 취업 전이었다.

 

 

 

사실, ADHD라면 공감할 수도 있다. 어렸을 때 내가 ADHD같다는 말을 가족에게 한번 들었었다. 오빠로부터였다. 공부를 할 때 내가 집중을 못하는 사실 때문이었다. ADHD라는 것은 어렸을 때부터 시작된 질병이니, ADHD를 가진 사람이라면, 아마 어렸을 때 가족이나 친구로부터 ADHD 아니냐는 이야기는 들어봄직 하다. 나는 과격하고 공격적이지는 않았으나 어렸을 때부터 지루함을 많이 느끼고 나 혼자의 생각에 빠졌던 것 같다. 그리고 사람들과의 대화에 참여하지않고 대화 하는 것이 지루하고 재미없다고 생각했다. 또한 학습이 많이 늦어 항상 방과 후 학습을 했고, 중학생 때까지 구구단을 못 외울만큼 학습이 굉장히 느렸다. 중학생 때까지 구구단을 못 외우는 사람이 있냐고 하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으나, 나는 그것이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못 할만큼 어렸다.

 

 

 

부모님은 알아채지 못하고 병원에 미리 데려가지 않았느냐 묻는다면,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일단 ADHD라는 질병 자체를 몰랐을 것이다. 또한 나는 조용하고 또 친구들과 잘 지내는 것 같으니 큰 걱정을 하지 않으셨을 것이다. 공부를 잘하지는 못하나 그리 못하는 편도 아니고 맞벌이를 하시며 나와 함께 할 수 있는 시간이 많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솔직히 다른 가족들도 그러리라 생각하는데, 가족끼리 티비를 보며 같이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지, 얼굴을 보며 오늘 무엇이 힘들었는지 대화하는 시간은 많지 않을 거라 생각 한다. 부모님을 탓할 마음은 정말 없다. 나도 내가 ADHD인줄 몰랐으니 부모님은 모르는 것이 당연지사라.

 

 

 

그러나 조금만 더 일찍 알았더라면 좋았었겠다는 생각은 하지만, 후회는 하지않기로 했고, 지금이라도 알아 다행이라 생각한다. ADHD의 원인은 아직 불명확하지만, 그 중 꼽히는 것으로 유전적 소인도 있을 것이라는 설도 있다. 그렇다면, ADHD를 가진 부모는 자식이 ADHD라는 것을 알아챌 수 있을까? 나는 그에 대한 답은 부정적이다. 물론 사람마다 ADHD의 정도는 차이가 있겠지만 부모가 ADHD를 지니고 있다면 자신의 자식이나 사람들도 비슷할 거라는 생각을 하게되기 때문이다.

 

 

 

내가 ADHD라는 것을 확신했을 때, 나는 안도감이 들었다.

아. 내가 이토록 덜렁대고 집중을 못했던건 다 이유가 있었구나 다행이다.

내 삶에 빠져있던 나사를 하나 찾아 조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는 것에 감사했었다.

 

 

 

 

 

 

  Comments,     Trackbacks